분류 전체보기
-
크레인 안전(기계)카테고리 없음 2024. 5. 29. 15:27
크레인 안전 1.용어의 정리크레인이라 함은 원동기 및 달기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횡행 및 주행(선회)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 (즉 X.Y.Z축운동)천장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지브크레인 서스펜션 크레인 호이스트원동기 및 달기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횡행 또는 권상동작만을 하는것. (즉 X.Y축 또는 X축운동) 크레인 구조 명칭 크레인방호장치 권과방지장치 (레버식) 권과방지장치 (중추형)후크해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 체결별 효율 와이어로프 클립 체결방법 및 갯수 2줄걸이 각도변화에 따른 하중변화 슬링벨트 폐기기준
-
크레인 안전(일반)카테고리 없음 2024. 5. 29. 15:26
1.안전인증 안전검사 1.제74조(안전인증대상기계등) ① 법 제84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 또는 설비가. 프레스나. 전단기 및 절곡기(折曲機)다. 크레인라. 리프트마. 압력용기바. 롤러기사.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아. 고소(高所) 작업대자. 곤돌라 2.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1. 프레스2. 전단기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4. 리프트5. 압력용기6. 곤돌라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
-
밀폐공간의 안전카테고리 없음 2024. 5. 28. 18:29
1. 봄 · 여름철 산업재해 주범 밀폐공간 질식재해 봄과 여름은 나들이 가기 좋은 계절이지만 밀폐공간에서 일하는 작업자에게는 특히 조심해야하는 계절입니다. 최근 지난 10년간(11년~20년) 발생한 질식사고를 분석 한 결과, 봄철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왜 봄에 질식사고가 증가하는 것일까요? 겨울철 사용 관리하지 않은 공간은 오랜 기간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고 봄철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미생물 번식이 활발해집니다. 그 결과 공간 내 산소농도가 낮아지게 되어 근로자의 산소결핍이 일어나고, 고농도 황화수소로 인해 질식사고가 발생하게 됩니다. 2. 밀폐공간의 정의■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별표 18] 개정 2023. 11. 14.>밀폐공간(제618조제1호 관련)1. 다음의 지층에 접하거나 ..
-
로봇 안전카테고리 없음 2024. 4. 26. 06:37
1.자율안전확인신고,안전검사 대상 로봇정의 2.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절 산업용 로봇 제222조(교시 등) 사업주는 산업용 로봇(이하 “로봇”이라 한다)의 작동범위에서 해당 로봇에 대하여 교시(敎示) 등[매니퓰레이터(manipulator)의 작동순서, 위치ㆍ속도의 설정ㆍ변경 또는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해당 로봇의 예기치 못한 작동 또는 오(誤)조작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다만, 로봇의 구동원을 차단하고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제2호와 제3호의 조치를 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다음 각 목의 사항에 관한 지침을 정하고 그 지침에 따라 작업을 시킬 것가. 로봇의 조작방법 및 순서나. 작..
-
-
협착재해 사례카테고리 없음 2024. 4. 24. 13:27
"> "> 가. 유형 1) 동력전달부에 작업복 등이 말려들어가는 경우 2) 설비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 설비가 작동되는 경우 3) 운반기계와 고정물 사이에 끼이는 경우 4) 회전하는 공구 또는 공작물 등에 말려들어가는 경우 동력전달부에 작업복이 말려들어가는 경우설비내부에 들어간 상태에서 설비가 작동되는 경우 운반기계와 고정물 사이에 끼이는 경우회전하는 공구 또는 공작물 등에말려 들어가는 경우">나. 예방대책 1) 동력기계 취급작업○ 동력전달부, 구동부 및 회전축에 견고한 구조의 방호덮개 설치 ※ 키, 핀 등의 기계요소는 묻힘형으로 설치○ 동력전달부, 구동부 및 회전축의 점검․보수 후에는 방호덮개 원상복구○ 절삭공구 등 회전체 작업시 면장갑 착용금지 2) 대형설비 내부작업○ 출입문에는 구동전원과 연동장치..
-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카테고리 없음 2024. 2. 22. 19:27
*2024년 9월30일 누적 사고사망자 443 명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산재승인기준)1.사고발생 개요 "> 2.산업안전보건법 이란 3.불안전행동의 제거 목적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embed/3zgl-0A-PO0 4.불안전상태의 제거 목적 2025년 그림으로 보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안전보건자료실" data-og-host="www.kosha.or.kr" data-og-source-url="https://www.kosha.or.kr/kosha/data/mediaBankMain.do?medSeq=46725&codeSeq=1100000&medForm=&menuId=-1100000&mode=detail" data-og-url="http..
-
위험성평가카테고리 없음 2023. 12. 21. 20:23
🔶 산업재해 란 ? 1.업무상 사고 2.업무상 질병 ■ 직업성 질병(질환) : 어떤 직업에 종사함으로써 발생하는 업무상 질병 직무관련 가스, 분진, 소음, 진동 등 유해인자가 몸에 침투, 축적되어 발생하는 질환의 총칭■ 작업 관련성 질병작업 자세, 시간 등 업무적 요인과 고혈압, 당뇨 등 비업무적요인(개인적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병 → 주요 질환은 뇌심혈관 질환과 근골격계 질환,스트레스 정신질환 3. 위험유해요인 요소 분류 대분류소분류 기계적요인협착,감김,끼임 절단,베임,긁힘 낙하,비래,전복,붕괴 충돌위험 넘어짐 추락위험 전기적요인감전 아크 정전기 작업특성요인초음파,초저주파음 휴먼 에러1.실수,2.부주의,3.태만,4.지각오류,5.판단오류,6.절차적오류질식·산소 결핍 작업(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