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
-
안전한 보호구의 착용 및 중요성카테고리 없음 2024. 8. 27. 00:34
1. 보호구란?근로자의 신체 일부 또는 전체에 착용해 외부의 유해, 위험요인을 차단하거나 그 영향을 감소시켜 산업재해를 예방하거나 피해의 정도와 크기를 줄여주는 기구*중요 : 보호구는 어쩔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최후의 수단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 보호구의 필요성 유해, 위험요인으로부터 근로자 보호가 불가능하거나 불충분한 경우가 존재 근로자 보호가 부족한 경우 보호구를 지급하고 착용토록 한다. 보호구의 특성, 성능, 착용법을 잘 알고 착용해야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3. 신체와 위험요소 4. 보호구의 선택법 작업장의 유해, 위험요소 분석 작업장의 유해, 위험요소의 수준 파악 보호구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는지를 파악 사용..
-
전기안전 교육카테고리 없음 2024. 6. 24. 21:21
1. 전기 감전재해 원인 첫째 : 주변에 습기와 물기가 많아 감전을 쉽게 유발할 수 있는 조건이 조성됨(절연파괴로 누전 발생)둘째 : 짧은 옷 등 간편한 복장으로 신체의 노출 범위가 커진 원인셋째 : 더위로 인한 집중력 부족넷째 : 땀으로 인한 인체저항감소와 작업시간이 길며 사고발생빈도 높아짐 1) 감전 - 전격에 의한 실신 - 쇼크에 의한 실신 - 심실 세동으로 심장마비 - 근육수축으로 호흡정지, 실신 전류의 발열작용으로 체온상승 전류작용에 의한 국부화상 및 조직의 파괴 쇼크에 의한 추락, 전도 2) 전기화재 전기기기의 잘못 사용 전기설비의 단락 또는 소손 전기설비의 누설전류로 인화 발화 전기불꽃에 의한 발화 3)..
-
-
크레인 안전(기계)카테고리 없음 2024. 5. 29. 15:27
크레인 안전 1.용어의 정리크레인이라 함은 원동기 및 달기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횡행 및 주행(선회)하는 동작을 행하는 것. (즉 X.Y.Z축운동)천장크레인 갠트리 크레인 지브크레인 서스펜션 크레인 호이스트원동기 및 달기기구를 사용하여 화물을 권상,횡행 또는 권상동작만을 하는것. (즉 X.Y축 또는 X축운동) 크레인 구조 명칭 크레인방호장치 권과방지장치 (레버식) 권과방지장치 (중추형)후크해지장치 비상정지장치 와이어로프 와이어로프 체결별 효율 와이어로프 클립 체결방법 및 갯수 2줄걸이 각도변화에 따른 하중변화 슬링벨트 폐기기준
-
크레인 안전(일반)카테고리 없음 2024. 5. 29. 15:26
1.안전인증 안전검사 1.제74조(안전인증대상기계등) ① 법 제84조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계 또는 설비가. 프레스나. 전단기 및 절곡기(折曲機)다. 크레인라. 리프트마. 압력용기바. 롤러기사. 사출성형기(射出成形機)아. 고소(高所) 작업대자. 곤돌라 2. 제78조(안전검사대상기계등)1. 프레스2. 전단기3. 크레인(정격 하중이 2톤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4. 리프트5. 압력용기6. 곤돌라7. 국소 배기장치(이동식은 제외한다)8. 원심기(산업용만 해당한다)9. 롤러기(밀폐형 구조는 제외한다)10. 사출성형기[형 체결력(型 締結力) 294킬로뉴턴(KN) 미만은 제외한다]11. 고소작업대(「자동차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