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유해화학물질 안전보건관리카테고리 없음 2025. 4. 23. 06:08
1.산업안전보건법 1)고용노동부 2) 법제1조 (목적)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목적 * 더 자세한 내용 보기 한국화학물질관리협회 : 제도이행정보 www.kcma.or.kr 2.화학물질 관리법 1)환경부 2)법 제1조(목적) :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危害)를 예방하고 화학물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한편, 화학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화학물질로부터 모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또는 환경을 보호하는 것 3.위험물 안전관리법 1) 주무기관 : 소방청 2)법 제1조(목적) : 위험물의 저장ㆍ취급 및 운반과 이..
-
해빙기[춘곤증] 재해예방카테고리 없음 2025. 3. 25. 22:17
1.정의사전적 의미로 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구체적 정의나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매년 2월 말~4월초가 이 기간에 해당합니다. 2.해빙기가 왜 위험한가?기온이 0℃ 이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지표면 사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얼어붙으면서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Frost Heave; 동상)’이 발생하였다가, 해빙기가 되면서 동결되었던 지반이 융해(Thawing)되어 침하되면서, 시설물 구조를 약화시켜 균열 및 붕괴되기 때문이다. 3.해빙기 주요 재해사례 4.예방대책 1) 해빙기 축대벽 붕괴사고 "> 2) 해빙기 전기안전"> 3) 춘곤증 / 졸음운전 가)춘곤증 따듯한 바람이 불어오는 봄날이 ..
-
-
비 정형 작업의 안전카테고리 없음 2024. 12. 25. 22:17
1.비정형 작업의 정의 및 특징비정형 작업(非定型 作業, Unstructured Task)은 일정한 규칙이나 표준 절차에 따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하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작업. ※ 예) 기계설비의 수리작업, 연 1회의 정기검사, 청소작업, 해체작업, 신규로 도입된 기계설비의 시운전, 이상발생시 응급작업, 기타 간헐적으로 실시 하는 작업 청소작업>수리·정비작업>해체작업>기계·기구설치> 2.특징예측 불가능성복잡성창의적 접근 필요높은 의사 결정 요구 3. 최근 5년간 사망자 분석 (끼임사망 - 비정형 작업) 4. 비정형 작업 대표적인 예방대책 "> 5. 정비·보수작업절차(예시) 순서정비·보수작업절차설 명1사전조사현장 사전조사시 정비·보수작업 내용, 작업장의 지형(밀폐공간, 작업높이) 등을..
-
-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도카테고리 없음 2024. 9. 24. 06:07
" data-ke-type="html">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재해보상의 기본 원리 무과실책임(無過失責任) 과실 여부를 따지는 불법행위이론에서는 사용자의 과실을 입증하지 못하는 한 산업재해로 인해 근로자에게 발생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고, 또한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과실상계의 원칙이 적용되는 때에는 손배배상액이 줄기 때문에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때문에 근로관계에서는 이를 수정하여 기업위험의 현실화와 사용자의 지휘명령관계라는 두 개의 요소를 결합한 보상책임을 인정하려는 무과실책임원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율보상원리 정율보상방식이란 재해를 당한 근로자의 연령이나 직종, 근무기간 등 제반요건을 고려하지 않고 당해 근로자의 평균임금만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