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해빙기[춘곤증] 재해예방
    카테고리 없음 2025. 3. 25. 22:17

    1.정의

    사전적 의미로 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법적으로 구체적 정의나 기간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매년 2월 말~4월초가 이 기간에 해당합니다.

     

     

     

    2.해빙기가 왜 위험한가?

    기온이 0이하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지표면 사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얼어붙으면서 토양이 부풀어 오르는 배부름 현상(Frost Heave; 동상)이 발생하였다가, 해빙기가 되면서 동결되었던 지반이 융해(Thawing)되어 침하되면서, 시설물 구조를 약화시켜 균열 및 붕괴되기 때문이다.

     

    3.해빙기 주요 재해사례

     

    4.예방대책

         1) 해빙기 축대벽 붕괴사고

     

     

         2) 해빙기 전기안전

     

          3) 춘곤증 / 졸음운전

     

             가)춘곤증  

     

             따듯한 바람이 불어오는 봄날이 되면, 자주 피곤해지고 오후만 되면 졸리고 소화도 잘 안되고, 업무나 일상에도 의욕을 잃어 쉽게 짜증이 나기도 하는데 이를 춘곤증이라고 한다.

                 의학적인 용어는 아니며 겨울 활동을 줄였던 인체이 신진대사 기능들이 봄을 맞아 활발해지면서 생기게 되는 일종의 피로 증세이다.

     

             나)졸음운전의 위험성

     

    시속 100로 운전할 경우 1초에 약 28m를 주행하게 되는데, 졸음이 올 때 1초 동안 눈을 감았다면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국도로공사 집계자료에 따르면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의 20% 이상이 졸음운전 때문이었다.

        

             다)졸음운전 예방대책

     

                 - 실내공기를 자주 순환시켜준다.

                 - 뇌를 자극시킨다. (껌 등 관자놀이 근육 활동, 이를 부딪히는 운동 등)

                 -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혈액을 순환시켜준다.

                 - 자주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안전운전을 한다.

                 - 규칙적이고 여유 있게 생활한다.

                 - 과일이나 채소 등을 통해 무기질을 많이 섭취

                 - 커피 등 카페인 다량 함유 식품을 마시지 않는다.

                 - 심야까지의 음주나 활동을 삼간다.

     

     

          4) 기타 안전사고예방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