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예방요령 및 소화기 사용법
화재의 구분 및 적용소화약제 종류 |
구 분 | A급 화재 | B급 화재 | C급 화재 | D급 화재 |
명 칭 | 일반 화재 | 유류 · 가스화재 | 전기 화재 | 금속 화재 |
가연물 | 목재, 종이, 섬유, 석탄 등 |
각종 유류 및 가스 | 전기기기, 기계, 전선등 |
Mg분말, Al분말 등 |
유효 소화 효과 | 냉각 효과 | 질식 효과 | 질식, 냉각 효과 | 질식 효과 |
적용 소화제 | -물 -산·알칼리소화기 -강화액 소화기 |
-포말 소화기 -CO2소화기 -분말소화기 -증발성액체소화기 -할론1211 -할론1301 |
-유기성 소화기 -CO2소화기 -분말소화기 -할론1211 -할론1301 |
-건조사 -팽창 진주암 |
가스(B급) 화재 (600*350)
월별 lpg가스 혼합비율
*식사중 부탄가스 폭발
금속(D급) 화재 (600*350)
대표적 금속화재"전기차화재"
소화기의 종류 및 사용 방법 |
가. 소화기의 종류
1) 가압방식에 의한 분류
• 축압식 : 용기 내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지시압력계 설치
• 가압식 :
- 소화기를 작동할 때만 가압용 가스 용기에 충전된 가압용 가스를 본체 용기 내의
소화약재에 가압시키는 소화기
- 본체 용기 내에 규정량의 소화약재와 압력원의 압축공기 또는 질소가스를 증압
2) 소화약제에 의한 분류
• 포 소화약제 : 물에 소량의 포 소화약제 첨가한 후 공기를 혼합하거나 화학반응을
일으켜 발포시킨 포를 연소물의 표면에 피복시켜 소화하는 약제
• CO2 소화약제 :
- 질식효과에 의한 소화 - 증발열에 의한 냉각작용
- 사용자 및 구조자의 인명피해 우려 있음
나). 일반 소화기의 점검 및 사용법
다. 투척용 소화기 사용법
옥내소화전의 종류 및 사용방법 |
가. 옥내소화전이란?
- 건축물에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진화가 가능하도록 건축물 내에 설치하는 고정식 물 소화설비
- 옥내 소화전은 비교적 큰 불도 소화 가능
- 평소 소방훈련 통하여 옥내소화전 사용방법 숙지
나. 옥내소화전의 사용법 및 사용순서 : 화재시 3인이 1개조가 되어 조작
1)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알리고자 발신기 스위치를 누르고, 소화전 문을 열고 관창(물을 뿌리는 부분, 노즐)과 호스를 꺼낸다. | 2) 호스의 접힌 부분을 펴주고 관창(노즐) 불이 나는 곳으로 가지고 간다. |
3) 관창(노즐)을 가지고 간 사람이 물 뿌릴 준비가 되었으면 소화전함 개폐밸브를 돌려 개방한다. | 4) 관창(노즐)을 잡고 불이 타는 곳으로 물을 뿌린다. |
화재 시 대피 요령 |
가. 다른 사람들에게 화재 사실을 알릴 것
- 초기 소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즉시 소방관서에 화재 신고할 것
- 침착하게 화재 발생 장소, 주소, 주요건물 또는 목표물, 화재의 종류를 상세히 설명할 것
나. 소화기 등을 이용하여 초기 소화작업 실시
- 불 끄는 일에만 정신이 팔려 연기에 질식하거나 불길에 갇히는 일이 없도록 할 것
다. 대피요령
- 연기속에서 수건 등으로 입을 막고 낮은 자세로 대피할 것
- 구조를 기다릴 경우 바람을 등지고 대기할 것
- 엘리베이터는 굴뚝 역할을 하므로 이용하지 말 것
라. 불이 난 건물 내에 갇혔을 때의 조치 요령
- 낮은 자세로 업드려 입과 코를 막을 것
- 화기나 연기가 없는 창문을 통해 외부에 알릴 것
- 물에 젖은 담요 등으로 감싸 화상을 예방할 것
작업장 불티화재 예방 요령 |
각종 작업시에 수반되는 불티는 예기치 않은 화재발생의 원인이 되며 발생 원인에 있어서도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주위의 가연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고 소화기나 소화수를 비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확인하고 작업해야 한다.
가. 주요원인
- 용접 부주의로 불티가 가연물에 떨어져 화재 발생
- 용접물체가 가열되어 주위의 가연물에 착화되어 화재 발생
- 모닥불, 소각장 등의 불티가 바람에 날려 화재 발생
- 건축 현장에서 배관의 용접 또는 절단 시 배관의
보온 재료에 불티가 옮겨 붙어 화재 발생
- 용접작업장 인근에 방치되어 있는 위험물, 가연물 등에
불티가 튀어 화재 발생
나. 예방요령
- 용접작업이나 쓰레기를 소각할 때는 소화기나 소화수 등을 비치한 후 작업에 임한다.
- 용접작업장 부근의 연소위험이 있는 위험물, 가연물을 제거한 후 작업
- 천정 부근에서 용접작업 시 불티가 떨어져 화재위험이 없는지 확인
- 모닥불 등의 처리는 충분히 소화하고 재연소의 발화 위험을 없애기 위해서 땅속에 완전히 묻는다.
소화기 설치 및 점검 요령 |
1) 소화기는 다음과 같이 설치
- 각 층별, 각 실별, 대상물별 방호능력단위 이상으로 설치
- 소형소화기는 보행거리 20m 이내 마다 설치
- 대형소화기는 보행거리 30m 이내 마다 설치
- “소화기” 위치 표시
- 잘 보이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곳에 설치 습기나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
2) 한 달에 한 번 정도 거꾸로 뒤집거나 흔들기 (분말소화기)
3) 압력게이지가 홍색 부분일 때 재충전 필요
4) 매월 1회 이상 청소
- 부식상태, 안전핀의 탈락 및 봉인 손상여부
- 노즐의 막힘, 연결 상태, 압력 정상여부 점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