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비 정형 작업의 안전
terminology운영자
2024. 12. 25. 22:17
1.비정형 작업의 정의 및 특징
비정형 작업(非定型 作業, Unstructured Task)은 일정한 규칙이나 표준 절차에 따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하거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작업.
※ 예) 기계설비의 수리작업,
연 1회의 정기검사, 청소작업,
해체작업,
신규로 도입된 기계설비의 시운전,
이상발생시 응급작업,
기타 간헐적으로 실시 하는 작업
![]() |
![]() |
![]() |
![]() |
<청소작업> | <수리·정비작업> | <해체작업> | <기계·기구설치> |
2.특징
예측 불가능성
복잡성
창의적 접근 필요
높은 의사 결정 요구
3. 최근 5년간 사망자 분석 (끼임사망 - 비정형 작업)
4. 비정형 작업 대표적인 예방대책
5. 정비·보수작업절차(예시)
순서 | 정비·보수작업절차 | 설 명 |
1 | 사전조사 | 현장 사전조사시 정비·보수작업 내용, 작업장의 지형(밀폐공간, 작업높이) 등을 조사하며, 조사시 안전대 등 필요한 보호구 휴대 및 견고한 구조물에 체결 |
2 | 위험성평가 | 현장조사, 취급물질, 사용기계기구(용접기 및 가스절단기), 안전시설물, 보호구 등을 바탕으로 작업관련자(반장, 반원)가 모여 예상되는 위험요인을 도출하여 위험성을 결정하고 위험성 감소대책을 수립 |
3 | 작업계획서 | 사용기계의 능력, 취급재료, 운반경로, 작업인원, 안전시설물, 작업지휘자, 작업안전표준 등이 포함되도록 작업계획서를 작성하여야 함(지게차, 전기, 해체, 중량물취급 등의 내용이 포함될 경우) |
4 | 작업 전 안전교육 | 작업전에 작업반원들에게 작업계획 내용을 전달함(TBM 등) |
5 | 안전시설물 설치 | 작업발판, 안전대부착설비, 환기장치, 가스농도 측정, 통행설비, 조명 등을 설치 |
6 | 작업 전 안전점검 | 작업자들의 보호구, 작업장소 안전시설물, 작업기계기구의 안전장치 등의 기능을 점검 |
7 | 작업게시 | 필요한 경우 작업지휘자의 감독하에 작업 진행 |
8 | 작업 중 안전점검 | 작업중에 수시로 발생되는 위험요인을 점검하고 조치 |
9 | 작업종료 및 정리정돈 | 전원 차단, 청소 및 정리정돈 |